금속관이음쇠 제조업 근무자에게 발생한 재생불량빈혈
1. 개요: 조○○(남, 35세)는 1992.5.1. S(주)에 입사하여 2003.1.까지 공작 기계 선반공과 셋
트바 부착 작업에 근무하던 중 2003.1. K병원에서 재생불량빈혈로 진단받고 골수 이식 수술
후 요양중이다.
2. 작업환경: S(주)는 자동차, 플랜트, 건축부문에 사용되는 고품질의 Bellows관련 제품을 생산
하는 제조업체로 여러 종류의 금속관 이음쇠를 생산하고 있다.근로자 조○○는 입사하여 공
작기계 선반공으로 일하다가 1999년 제품형태가 외압형에서 내압형으로 바뀌면서 셋트바 부
착, 그라인더, 신너 세척 등의 작업을 하였다. 주로 셋트바 부착 작업을 하였으며 가끔씩 그
라인더, 신너 세척작업을 하였다. 신너 작업시간은 연간 28시간에서 51시간이었으며 인접 도
장 부서는 4-5m 거리를 두고 있었고 처음부터 부스가 설치되어 있었다. 도장 부서의 도장 작
업시 발생하는 도료와 신너 그리고 산 처리장에서 넘어오는 산(가스)이 유해요인으로 제기되
었다.
3. 의학적 소견: 조○○은 2002년 겨울부터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았고 2003년 1월 시행한 혈액
검사상 재생불량빈혈로 진단되었다. 외래 진료를 통하여 약물 치료 중 호전없어 골수 이식
수술 받았으며 현재 요양중이다. 평소 건강하였으며 가족력이나 특별한 유전적 요인은 없었
다. 건강 진단에서도 특이소견 없었다.
4. 고찰: 조○○의 재생불량빈혈과 관련성있는 유해요인으로 도료와 신너에 포함된 벤젠을 생각
할 수 있다. 도장 작업자에게서 시행한 작업 환경 측정결과 벤젠에 대한 기록은 없었으며 다
른 유기 용제의 노출 수준은 기중 농도를 초과한 것은 없었고 노출 수준도 낮았다. 시료 분
석상 도료와 신너에 0.58% 정도의 벤젠이 함유되어 있어 벤젠 노출이 있었을 것으로 보이나
노출 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되었고 간접적으로 노출된 근로자 조○○의 벤젠 노출
수준은 더욱 낮은 것으로 판단된다.
5. 결론: 조○○의 재생불량빈혈은
① 인근 작업장에서 사용하는 벤젠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있고,
② 재생불량빈혈을 일으킬 만한 다른 원인은 확인되지 않으나,
③ 대부분 간접적으로 노출되어 벤젠 노출수준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어, 벤젠에 의해 발생
하였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다.